Secret한 부자 되기
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전체 글1068

매입채무회전율 [효율성 분석] 매입채무회전율 [효율성 분석] 매입채무회전율은 매입액을 매입채무로 나눈 것으로 기업의 매입채무를 갚는 속도가 어느정도인지를 보여 주는 지표이다. 즉, 외상으로 구입한 상품이나 원재료대금을 얼마나 빨리 지급하고 있는지를 나타낸다. 재고자산 매입액 자료가 이용가능하지 않은 경우에는 매출원가를 대신 사용할 수 있다. 매입채무회전율 = 매입액(매출원가) / 매입채무 일반적으로 매입채무회전율이 낮을수록 기업이 신용관리를 잘 하고 있다는 신호이다. 매입채무는 이자를 지급하지 않는 부채이기 때문에 매입채무를 늦게 갚을수록 기업은 영업운전자본투자액을 절약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대부분의 기업은 매입채무를 가급적 늦게 갚으려고 하는데 매입채무회전율이 낮다는 것은 기업의 경쟁력이 강하다는 증거이기도 하다. 반대로 매입채.. 2020. 5. 6.
재고자산회전율 [효율성 분석] 재고자산회전율 [효율성 분석] 재고자산회전율은 매출원가를 재고자산으로 나눈 것으로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재고자산을 판매하는 속도를 측정하는 지표이다. 재고자산회전율 = 매출원가 / 재고자산 재고자산회전율이 높다는 것은 적정한 수준의 재고를 보유하고 있거나 재고자산이 빠르게 팔려 나간다는 것을 의미한다. 재고자산회전율이 높을수록 재고자산관리를 잘하고 있어 경영의 효율성을 갖추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재고자산회전율을 판단할 때에는 동종산업과 비교하고 개별 기업의 과거 추세를 살펴봐야 한다. 특히 재고자산의 가치가 급격히 감소하는 의류산업이나 IT산업에 속한 기업의 재고자산회전율에는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실제로 의류업의 경우 유행이 지난 재고는 원재료가격에도 못 미치는 가격에 판매되고, IT산업의 경.. 2020. 5. 5.
매출채권회전율 [효율성 분석] 매출채권회전율 [효율성 분석] 매출채권회전율은 매출액을 매출채권으로 나눈 것으로 매출채권이 현금화되는 속도를 측정하는 지표이다. 이 비율이 높으면 매출채권이 현금화되는 속도가 빠름을 의미하며, 동시에 매출채권투자가 크지 않음을 나타낸다. 매출채권회전율 = 매출액 / 매출채권 매출채권은 기업이 재화나 서비스를 외상으로 판매하고 나중에 대금을 회수하는 것이기 때문에 매출채권이 적을수록, 대금회수속도가 빠를수록 유리하다. 현금흐름이 어려운 기업은 매출채권을 양도(매도)함으로써 유동성을 확보하려고 한다. 이 경우는 매출채권이 적어져서 매출채권회전율이 높아진다. 이 때문에 매출액의 큰 변화 없이 매출채권이 급격하게 줄어드는 기업은 주의해서 살펴봐야 한다. 매출채권회전율은 기업이 속한 산업의 영향보다도 개별 기업의.. 2020. 5. 4.
총자산회전율 [효율성 분석] 총자산회전율 [효율성 분석] 효율성비율은 기업이 영업에 투입한 자산이 얼마나 효율적으로 이용되고 있는지, 즉 얼마나 빠른 속도로 매출이나 현금으로 변환되었는지를 측정하는 비율로 활동성비율 또는 회전률비율이라고 한다. 효율성비율은 보통 매출액, 매출원가, 매입액 등을 자산에 대비시켜 나타내는데 자산의 활용도를 총체적으로 측정하는 비율과 특정 자산의 개별 항목에 대한 활용도를 측정하는 비율로 구분해 볼 수 있다. 효율성을 측정하는 총괄적 지표로 총자산회전율이 있으며, 특정 자산의 개별적 활용도를 측정하는 지표로는 영업운전자본(재고자산, 매출채권, 매입채무)회전율이 있다. 총자산회전율은 매출액을 총자산으로 나눈 것으로, 기업이 자산을 어마나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매출액을 창출하고 있는지를 보여 주는 지표이다. .. 2020. 5. 3.
영업현금흐름 대 유동부채비율 [안전성 분석] 영업현금흐름 대 유동부채비율 [안전성 분석] 유동성비율들은 기말시점에서 자산금액을 사용하여 산정되기 때문에 계절적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단기지급능력을 평가하는 대체적 방법은 기업이 연중의 영업활동에서 획득하는 현금흐름이 유동부채와 비교하여 얼마나 되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영업현금흐름 대 유동부채비율 = 영업활동 현금흐름 / 유동부채 [Secret 기업분석/경제 관련 용어 정리] - 현금흐름의 분석 [현금흐름표] 현금흐름의 분석 [현금흐름표] 현금흐름의 분석 [현금흐름표] 현금흐름 중에서 가장 주목해야 하는 부분은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이다.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이나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은 재무상태표나 손 secret-of-rich.tistory.com [Secret 기업분석/경제 관련 .. 2020. 5. 2.
당좌비율 [안전성 분석] 당좌비율 [안전성 분석] 유동자산에서 재고자산과 같이 현금화하는데 시간이 걸리는 자산을 뺀 자산을 당좌자산이라고 한다. 즉, 당좌자산 = 유동자산 - 재고자산이다. 당좌비율은 즉시 현금화가 가능한 당좌자산이 유동부채에 비해 얼마만큼 보유하고 있는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당좌비율 = 당좌자산 / 유동부채 × 100 유동비율과 마찬가지로 당좌비율도 높을수록 단기부채에 대한 지급능력이 높다고 할 수 있다. 당좌자산이 유동부채보다 많은 기업, 즉 당좌비율이 100% 이상인 기업은 유동성에 있어 위험에 빠질 가능성이 적다고 할 수 있다. 당좌비율은 유동비율을 보완해 주는 지표이다. 기업은 재고자산을 판매하여 현금화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고 현금화하더라도 평가액에 못 미치는 현금이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재.. 2020. 5. 1.
제주오름 ep3. 도두봉 탐방기. 따스한 햇빛과 적당히 시원한 바람이 날리는 도두봉을 다녀왔다. 도두봉은 제주시 도두일동 산1에 위치해 있으며 올레 17코스에 속한다. 정상에 오르면 공항이 보이며 제주공항에서 가장 가까운 오름이 아닐까 싶다. 자~ 오름탐방을 위해 네비게이션을 켜고 차를 몰고 고고싱!~~ 하지만 차를 어디에 주차해야하는지 고민이 든다. 그건 운전자의 숙명이다. 운전자의 고충을 모르는 옆자리 뒷자리 사람들은 간절히 운전자를 응원해 주도록 하자!!!- o ( ^ ^)O 뒷사람은 운전자의 어깨를 주물러주고 옆사람은 신나게 춤을 춰주자! 신나는 오름탐방에는 이러한 의식은 필수다. 주차는 도두항에 주차하면 된다. 따로 주차장이라고 써져있지는 않지만 배들이 선착된 주위가 시멘트 바닥으로 넓게 있다. 다른 운전자나 보행자에게 불편함을.. 2020. 4. 30.
유동비율 [안전성 분석] 유동비율 [안전성 분석] 유동비율은 유동자산을 유동부채로 나눈 비율로 기업의 단기부채에 대한 지급능력을 판단하는 지표이다. 유동자산은 1년 이내에 현금화될 자산이고, 유동부채는 1년 이내에 상환해야 하는 부채를 말한다. 따라서 두 항목을 비교해 보면 1년 이내에 기업의 유동성에 문제가 발생할지는 대해 대략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유동비율 = 유동자산 / 유동부채 × 100 유동비율이 낮을수록 단기부채에 대한 지급능력이 떨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100%미만의 유동비율을 가진 기업은 부채를 상환해야 할 때 원금을 상환하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100% 미만의 유동비율을 나타내면 재무상태가 양호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하지만 그 기업이 무조건 파산 등으로 재무적 문제를 일으킨다는 것은 아니다... 2020. 4. 30.
이자보상배수 [안전성 분석] 이자보상배수 [안전성 분석] 기업이 타인자본을 이용하면 자본사용대가로서 정기적으로 이자를 지급해야 한다. 투자자들에게는 기업이 영업활동에서 이자를 제대로 갚을 수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 이자보상배수(이자보상비율이라고도 함)는 영업이익을 이자비용으로 나눈 것으로 기업이 영업이익으로 이자 비용을 얼마만큼 감당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이자보상배수 = 영업이익 / 이자비용 이자보상배수가 1배이면 모든 영업이익이 이자를 갚기 위해 쓰인다는 뜻이다. 이자보상배수가 1배보다 큰 기업은 이자비용을 감당하고도 이익을 낼 수 있음을 의미하므로 이자보상배수가 높을수록 좋다. 반면에 이자보상배수가 1배수 이하인 기업은 영업이익으로 이자를 감당하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이런 회사는 투자대상에서 제.. 2020. 4. 29.
차입금의존도 [안전성 분석] 차입금의존도 [안전성 분석] 차입금의존도는 기업의 총자본(자본과 부채의 합) 중에서 실제로 이자를 지급하는 차입금(사채 포함)의 비중이 얼마나 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즉, 기업이 자금조달을 얼마나 많이 차입금에 의존하는지를 보여 주는 비율이다. 차입금의존도 = 차입금(사채포함) / 총자본 × 100 부채비율은 총자본 중 부채가 얼마나 되는지를 나타내는 비율이다. 부채비율의 분자인 부채에는 차입금 이외에 충당부채나 영업활동관련 부채들이 포함되어 있으나 차입금의존도 산정 시 분자에는 이자를 지급하는 장 · 단기차입금과 회사채가 포함되므로 기업의 자본조달수단 중 차입금에 의존하는 정도를 보다 직접적으로 나타내는 비율이라 할 수 있다. 기존의 많은 연구에서는 부실기업의 여러 특성 중의 하나가 차입금의존도가.. 2020. 4. 28.
부채비율 [안전성분석] 부채비율 [안전성분석] 기업을 평가할 때 먼저 확인해야 하는 것은 수익성과 성장성이다. 그것은 기업의 목적이 이익을 창출하는 것이기 때문에 기업이 그러한 목적을 잘 이행하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 우선시 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익을 잘 내고 성장하는 기업은 주주에게 높은 수익률을 안겨 준다. 그러나 아무리 수익성이 좋고 성장성이 좋다고 기업이 재무적으로 안정되지 못하여 차입금 등의 부채나 이자비용을 감당하지 못하여 허덕이는 경우에는 어느 날 갑자기 부도가 나거나 회사 자체가 사라질 수도 있다. 따라서 기업을 분석할 때 안전성을 분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적절한 부채를 이용하는 것은 부채의 레버리지효과 때문에 기업성장에 도움을 주게 된다. 그러나 지나친 레버리지의 이용은 기업에 독이 될 수도 있기 때.. 2020. 4. 27.
순이익성장률 [성장성 분석] 순이익성장률 [성장성 분석] 순이익성장률은 기초순이익에 비해 기말순이익이 얼마나 빠른 속도로 증가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순이익은 매출액에서 모든 비용을 차감하고 최종적으로 남는 이익으로 주주의 이익이라고 한다. 순이익성장률 = 기말순이익 - 기초순이익 / 기초순이익 × 100 순이익성장률은 주가형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주가는 기업이 얼마나 많은 이익을 남겼느냐에 따라 움직인다. 이런 이유로 순이익성장률은 투자자의 수익률로도 해석할 수 있는데, 투자수익률을 결정하는 주가는 순이익의 성장만큼 상승하기 때문이다. 이를 제대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단기적인 순이익성장률만을 살펴보는 것보다는 향후 수년간의 순이익성장률을 함께 고려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경기변동이나 산업의 부침에 따라 순이익이 단기적으.. 2020. 4. 26.
매출액성장률 [성장성 분석] 매출액성장률 [성장성 분석] 수익성과 함께 강한 경쟁력을 가진 기업의 특징은 바로 지속적인 성장성이라고 할 수 있다. 기업의 수익성이 일정한 수준을 유지한다고 하더라도 성장하지 않는 기업은 주가상승이 제한을 받게 된다. 강한 경쟁력을 가진 기업은 제품의 가격을 올리거나 새로운 시장을 개척함으로써 지속적으로 성장한다. 성장률은 전년 대비, 전년 동기 대비, 전 분기 대비, 전월 대비 등 기준을 언제로 잡느냐에 따라서 여러 가지 방법으로 계산할 수 있다. 그러나 산업 또는 기업별로 매출액과 이익이 변화하는 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계절성과 같은 특성을 고려하여 성장성을 판단해야 한다. 또한 기업에 따라 일시적인 손익 항목으로 인하여 매출액과 이익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단기간의 성장률만을 보고 해당 기업의 성.. 2020. 4. 25.
투하자본이익률(ROIC) [수익성 분석] 투하자본이익률(ROIC) [수익성 분석] 투하자본이익률(return on invested capital : ROIC)은 영업활동에 투입된 자본대비 영업활동으로 벌어들인 이익의 비율로 기업이 얼마나 효율적으로 영업활동을 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수익성지표로서, 순수영업활동의 수익성을 나타낸다. 투하자본이익률(ROIC) = 세후영업이익 / 영업투하자본 × 100 영업투하자본은 총자산(부채 + 자본)에서 현금및현금성자산과 같은 금융자산을 제외한 영업자산에서 영업활동에서 발생한 부채(매입채무 등)인 영업부채를 차감한 것으로 순수하게 영업활동에서 투하된 자본을 말한다. 자산 중에서 영업활동(재화 및 서비스의 생산 · 판매)에 사용되는 자산을 영업자산이라고 부르고, 재무활동에 관련된 자산을 재무자산이라고 부른다. 재.. 2020. 4. 24.
『현명한투자자』4장. 일반적인 포트폴리오 전략 : 방어적인 투자자 + 논평 4장. 일반적인 포트폴리오 전략 : 방어적 투자자 o. 위험을 감수할 여력이 없는 투자자라면 투자 금액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수익에 만족해야 한다는 것은 오랫동안 자리 잡아 온 원칙이다. 투자자의 목표 수익률과 위험의 정도는 비례한다는 일반적인 생각 또한 바로 이 원칙에서 비롯되었다. 그러나 우리 생각은 다르다. 수익률을 좌우하는 것은 투자자가 쏟을 수 있는 지적인 노력의 정도다. ★ 주식, 부동산, 채권, 환 차이, 금 등 모든 투자에 있어서 기준이 되는 것은 수익률입니다. 수익률을 비교하여 보다 우위에 있는 것을 취하는 것이 투자의 기본입니다. 기본적으로 투자자라면 그 수익률을 비교하여 경쟁우위에 있는 투자대상을 찾을 수 있어야 합니다. 그것이 투자자로서 갖추어야 할 지적의 노력이며, 그 노력은 수.. 2020. 4. 23.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