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무레버리지비율
본문 바로가기
Secret 기업분석/경제 관련 용어 정리

재무레버리지비율

by 큐라s 2020. 5. 14.
728x90
반응형

재무레버리지비율

재무레버리지비율은 보통 자본조달과정에서 부채를 사용하여 투자재원을 마련하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부채비율이라고 한다. 재무레버리지를 나타내는 또 다른 비율은 총자산을 자본으로 나눈 자산자본비율이다. 이를 등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자산자본비율 = 총자산 / 자본 

 

총자산은 부채와 자본의 합이므로 이 등식을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자산자본비율 = (부채 + 자본) / 자본 = 1 + 부채 / 자본 = 1 + 부채비율

 

자산자본비율이 1.0이면 회사의 부채가 제로라는 뜻이다. 가령 자산자본비율이 3.0이라면 1원의 자본에 2원의 부채가 있음을 의미한다. 이는 다른 사람의 돈을 이용해서 얼마나 효과를 거두고 있는가를 나타내기 때문이다. 

 

부채비율 [안전성분석]

부채비율 [안전성분석] 기업을 평가할 때 먼저 확인해야 하는 것은 수익성과 성장성이다. 그것은 기업의 목적이 이익을 창출하는 것이기 때문에 기업이 그러한 목적을 잘 이행하고 있는지를 확�

secret-of-rich.tistory.com

자산자본비율은 다른 사람의 돈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고 있는지 어떤지를 알려주는 유용한 도구이다. 그것이 1.0에 가까우면 경영자가 너무 신중한 재무정책을 쓰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런 경우는 부채를 더 보유해도 괜찮다. 반대로 그것이 3.0에 가까워지면 위험영역에 들어선 것이다. 이때는 채무변제를 고려해야 한다. 재무레버리지는 '더 많다'는 것이 언제나 '더 좋다'라고 말할 수 없음을 가르쳐 준다. 

 

기업이든 개인이든 자금을 빌려(부채)서 사용하는 것은 양날의 검과 같습니다. 자신이 감당할 수도 없는 자금을 빌려온다면 곧 파멸의 길로 접어들게 됩니다. 하지만, 적재적소에 자금을 투입시켜 레버리지 효과를 얻을 수도 있습니다. 레버리지효과를 위해 부채를 사용하는 이유는 좀 더 빠른 성장을 이룰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코스닥에 입점한 초기 성장기업의 경우는 부채의 비율이 높아지다가 성장기로 접어들면서 점점 부채비율을 줄이기도 합니다. 항상 부채비율이 높게 유지된다면 투자하기 전에 기업의 재무제표를 들여다보는 노력을 서슴지 않아야 합니다. 이 자료가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다면 로그인이 필요없는 좋아요 한번 눌러주세요. 감사합니다. : )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