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성비 분석(공통형 재무제표) [재무제표 분석기법]
본문 바로가기
Secret 기업분석/경제 관련 용어 정리

구성비 분석(공통형 재무제표) [재무제표 분석기법]

by 큐라s 2020. 4. 16.
728x90
반응형

피보나치 수열 : 황금비 1.618 : 1 

구성비 분석(공통형 재무제표) [재무제표 분석기법]

구성비 분석이란 재무제표를 구성하고 있는 각 항목의 상대적인 크기를 나타내기 위하여 재무제표의 항목 중 제일 큰 금액을 기준으로 하여 각 항목이 차지하는 비율을 나타낸 것으로 공통형 재무제표의 항목 중 제일 큰 금액을 기준으로 하여 각 항목이 차지하는 비율을 나타낸 것으로 공통형 재무제표 또는 백분비 재무제표라고 한다. 즉, 재무상태표에서는 제일 큰 항목이 자산이므로 재무상태표의 모든 항목을 자산으로 나눠서 백분비를 나타낸 것을 공통형 재무상태표라고 하고, 손익계산서는 매출을 기준으로 백분비로 나타낸 것을 공통형 손익계산서라고 한다. 이렇게 비율로 표시하면 자산과 부채의 항목, 손익 항목들이 어떻게 구성되었는지를 파악할 수 있으며, 기업규모가 다른 여러 회사 간의 비교도 용이해진다. 또한 구성비를 과거의 수치와 비교하면 각 항목의 구성이 어떻게 변해 가고 있는지도 알 수 있다. 

 

공통형 재무제표는 각 항목의 구성비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각 항목의 변화 추이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특히 공통형 손익계산서를 작성하면 매출액 대비 여러 비율, 즉 매출총이익률, 순이익률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다음은 셀트리온의 공통형 재무상태표와 손익계산서이다. 

 

다음에 제시한 표는 2018년과 2019년의 연결 재무상태표와 공통형 재무상태표를 나타내고 있다. 실제 금액을 비교했을 추세 분석의 어려움을 비율로 나타내면 이해하기 훨씬 쉬워진다는 이점이 있다. 공통형 재무상태표에 의하면 자산에서는 유동자산의 비율은 줄고, 비유동자산은 증가하는 모습을 보이며, 부채에서는 유동부채는 줄고, 비유동부채는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재고자산이 증가폭이 크게 나타나는 것을 주의 깊게 살펴 볼 필요가 있다. 

 

[Secret 기업분석/경제 관련 용어 정리] - 재고자산 이란? [재무상태표 (자산)]

 

재고자산 이란? [재무상태표 (자산)]

재고자산이란 기업이 판매를 목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제품이나 상품, 판매를 목적으로 제품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사용 또는 소비될 원재료, 재공, 저장품 등의 자산을 말한다. *재공품 : 공장에서 생산과정 중에..

secret-of-rich.tistory.com

셀트리온 재무상태표 및 공통형재무상태표

항   목 

2018년(억원)

2019년(억원)

2018년 구성비(%)

2019년 구성비(%)

자산

 

 

 

 

 유동자산

16,645

17,873

47.0

45.9

  현금및현금성자산

4,105

5,461

11.6

14.0

  단기금융자산

1,216

817

3.4

2.1

  매출채권 및 기타유동채권

8,077

8,144

22.8

20.9

  기타수취채권

1,243

124

3.5

0.3

  재고자산

1,631

3,089

4.6

7.9

  당기법인세자산

95

0

0.3

0.0

  기타유동자산

277

238

0.8

0.6

 비유동자산

18,761

21,064

53.0

54.1

  장기금융자산

190

176

0.5

0.5

  장기기타수취채권

103

107

0.3

0.3

  종속기업 및 관계기업 투자

280

478

0.8

1.2

  유형자산

8,814

9,236

24.9

23.7

  무형자산

9,223

10,400

26.1

26.7

  기타비유동자산

151

432

0.4

1.1

  이연법인세자산

0

233

0.0

0.6

 자산총계

35,406

38,937

100.0

100.0

부채

 

 

 

 

 유동부채

6,781

6,572

19.2

16.9

  단기금융부채

4,136

3,563

11.7

9.1

  매입채무 및 기타유동채무

207

427

0.6

1.1

  기타지급채무

1,364

1,815

3.9

4.7

  당기법인세부채

368

425

1.0

1.1

  유동충당부채

9

24

0.0

0.1

  기타유동부채

697

318

2.0

0.8

 비유동부채

2,298

3,295

6.5

8.5

  장기금융부채

1,031

1,431

2.9

3.7

  장기기타지급채무

10

9

0.0

0.0

  비유동충당부채

0

0

0.0

0.0

  기타비유동부채

895

1,183

2.5

3.0

  이연법인세부채

362

672

1.0

1.7

 부채총계

9,078

9,867

25.6

25.3

자본

 

 

 

 

 지배기업의 소유주에게 귀속되는 자본

25,240

27,942

71.3

71.8

  자본금

1,255

1,283

3.5

3.3

  자본잉여금(주식발행초과금)

7,610

7,864

21.5

20.2

  이익잉여금(결손금)

17,018

19,969

48.1

51.3

  기타포괄손익누계액

100

30

0.3

0.1

  기타자본구성요소

-743

-1,204

(2.1)

(3.1)

 비지배지분

1,088

1,128

3.1

2.9

 자본총계

26,328

29,070

74.4

74.7

자본과부채총계

35,406

38,937

100.0

100.0

 

아래 표는 손익 항목의 구성비와 그 변동을 살펴보기 위해 2010년부터 2014년까지 5년간의 공통형 손익계산서를 예시로 제시하였다. 공통형 손익계산서에서 보면 매출액 대비 매출원가의 비율이 매우 낮고, 그 크기도 19~30%로 변동이 심하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매출원가 구성요소에 대한 분석이 필요함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판매비와 관리비에 있어서도 그 변화폭이 매우 커서 상당한 문제가 있음을 나타내고 있으며, 2013년의 경우 영업이익 감소가 눈에 띄게 나빠진 반면 영업외수익과 비용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순이익의 조정에 대하여 의심의 소지가 있다고 하겠다. 

 

공통형 재무상태표와 손익계산서 분석에서는 다음 항목의 구조적인 변화를 잘 살펴봐야 한다. 다음은 내용이 전부 '예'이면 분식회계 가능성이 있을 수 있다. 

  • 총자산 대비 매출채권의 비중이 늘었다. 
  • 총자산 대비 재고자산의 비중이 늘었다. 
  • 총자산 대비 현금및현금성자산의 비중이 늘었다.
  • 매출총이익률이 엄청나게 늘었다.
  • 매출액과 비교했을 때 판매비와 관리비의 비중이 줄었다. 판매비와 관리비의 개선은 영업비용의 자본화로 이룬 것일 수 있다. 

공통형손익계산서(예시)

항  목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매출액 100% 100% 100% 100% 100%
매출원가 22% 19% 27% 30% 27%
매출총이익 78% 81% 73% 70% 73%
판매비와 관리비 19% 17% 17% 25% 27%
영업이익 59% 64% 56% 44% 46%
영업외수익 5% 5% 4% 29% 5%
지분법이익 0% 0% - 0% -
영업외비용 2% 4% 6% 22% 15%
지분법손실 - - 0% 0% 0%
법인세비용차감전이익 61% 66% 54% 51% 36%
법인세비용 1% 6% 4% 6% 7%
계속사업이익(손실) 60% 60% 50% 45% 28%
당기순이익 60% 60% 50% 45% 27%

이처럼 각 항목의 추세 분석과 공통형 재무제표 분석은 해당 기업의 재무적 특성을 파악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분석일 뿐만 아니라 해당 기업에 대한 개략적인 문제점을 파악하는 예비검증으로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 분석이다. 

 

한편, 재무상태표의 여러 항목은 매출액에 비례하여 움직이는 경우가 많다. 각 항목을 매출액에 대비하여 그 변동추이를 살펴보면 매출액의 증가나 감소와는 다른 변동추세를 보이는 경우가 있다. 이들 항목을 중점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 또한 장 · 단기 재무제표를 추정하는 경우에도 이 방법이 유용하다. 

 

이번 공통형재무상태표와 손익계산서를 만들어 봄으로써 느낀것은 그곳에 담겨진 황금비가 있을까? 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번 포스팅의 메인사진은 길이를 가장 이상적으로 나누는 황금비 1.618 : 1 이라고 합니다. 기업분석에 있어서도 각 항목별 증가 또는 감소하는 추세를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 하는 것은 업종마다 차이는 있을 거라 생각합니다. 하지만 스스로 여러 기업들의 구성비 분석을 해봄으로써 자신만의 노하우와 기업분석에 대한 황금비를 찾아낼 수도 있지 않을까요? 세계적인 투자자 워런 버핏이나 피터 린치, 존 네프 등 자신만의 투자원칙을 만들어서 수익을 거머쥔 사람들처럼 말입니다. 이 자료가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다면 로그인이 필요없는 좋아요 한번 눌러주세요. 감사합니다. : )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