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세 분석 [재무제표 분석기법]
재무제표의 항목은 그 자체가 보여 주는 의미보다도 각 항목 간의 상관관계 및 현재와 과거를 비교했을 때 나타나는 변동방향과 크기가 더 중요한 의미가 갖는다. 재무제표 분석을 통하여 재무제표 항목 간의 관계를 설정하거나 각 항목의 변동이나 추세를 파악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이용되는 방법은 추세 분석, 구성비 분석, 그리고 재무비율 분석이 있다.
추세 분석은 재무제표 분석기법 중 가장 기본적인 것으로 재무제표의 수치를 과거의 수치와 비교하여 증가 또는 감소추세를 살펴보는 것이다. 회사의 경영성과가 개선되고 있는지 또는 악화되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와 추세의 변동크기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한 것으로 수평적 분석이라고 한다. 추세 분석은 다음과 같이 여러 형태로 이용된다.
첫째, 기업의 자산구성, 자본구조 및 손익구조가 어떻게 변해 왔는가를 파악하기 위하여 추세 분석을 한다. 다음에 설명하는 공통형 재무제표를 여러 기간에 대해 작성하면 그러한 추세 분석이 가능하다.
둘째, 재무제표의 각 항목이 어떠한 변화추세를 보이고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지수형 재무제표를 작성한다. 지수형 재무제표란 기준연도를 정하여 기준연도의 금액을 100으로 놓은 다음 비교연도의 금액을 기준연도의 금액으로 나누어서 지수형태로 표시한 재무제표이다.
셋째, 자기자본이익률 등의 재무비율들이 어떠한 변화추세를 보이고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서 추세 분석을 한다.
일반적으로 추세 분석은 지수형 분석을 의미한다. 이런 지수형 분석을 단순화한 방법은 중요한 항목을 중심으로 추세 분석을 하는 것이다. 이 방법은 재무제표 전 항목에 대한 추세 분석에 비하여 간단 · 명료하고 시간이 절약된다는 이점이 있다. 지수형 추세분석은 다음과 같은 두 단계를 거쳐 수행한다.
- 제1단계 : 기준연도를 정하고, 기준연도의 해당 재무제표 항목에 대하여 100%라는 가중치를 부여한다.
- 제2단계 : 비교연도의 해당 재무제표 항목을 기준연도의 그 항목에 대한 비율로 표시한다. 예를 들면, 비교연도의 매출액을 기준연도의 매출액으로 나누어 비율을 계산한다.
다음 표의 [제1부]는 단백질 및 바이오 의약품 제조기업인 셀트리온의 2010년부터 2014년까지의 매출액과 당기순이익을 표시하고 있다. 2010년을 기준으로 한 매출액과 순이익에 대한 추세 비율이 [제2부]에 계산되어 있다. 추세 비율에 의하면 매출액은 2013년을 제외하고 대체로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도 비슷한 증가 양상을 나타내고 있지만 2011년의 경우 영업이익이 급증한 반면에 당기순이익증가율이 저조한 편이다.
특이한 점은 2011년과 2012년에 영업이익이 당기순이익보다 많으며 2013년도에는 영업이익이 급감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매출액이 부진한 2013년의 경우는 당기순이익에 비해 영업이익이 급락하는 모습을 보여 회사의 매출원가나 영업외손익 항목을 확인하여야 할 정도로 변동이 심한 편이다. 특히 2013년도의 매출액은 기준연도에 비해 126% 성장했지만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기준연도인 2010년에 훨씬 못 미치는 성과를 나타내고 있다.
[제1부] 연도별 금액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
매출액(억원) | 1,801 | 2,790 | 3,502 | 2,262 | 4,521 |
영업이익(억원) | 1,062 | 1,787 | 1,955 | 999 | 2,114 |
당기순이익(억원) | 1,096 | 1,678 | 1,744 | 1,025 | 1,376 |
[제2부] 추세비율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
매출액(억원) | 100% | 155% | 194% | 126% | 251% |
영업이익(억원) | 100% | 168% | 184% | 55% | 117% |
당기순이익(억원) | 100% | 153% | 184% | 93% | 126% |
매출액, 영업이익 및 순이익의 추세를 보면 이 기업은 전반적으로 꾸준히 성장하고 있는 기업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다만,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의 변동폭에 있어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기 때문에 그 차이가 일시적 손익에 의한 변동인지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당기순이익에 대한 세부적인 확인은 원재료가격 인상으로 인한 매출원가의 상승인지 아니면 판매관리비 등의 비용관리상의 문제인지를 확인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다음과 설명하는 구성비의 분석이 매우 유효하다.
추세 분석을 가시적으로 쉽게 확인하는 방법은 차트를 이용하는 것이다. 추세 분석을 위한 차트는 다음과 그림으로 제시하였다.
추세 분석의 결과 다음과 같은 변화는 주의해서 살펴 봐야 한다.
- 매출채권이 매출액보다 빠르게 증가한다.
- 재고자산이 매출액보다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
- 재고자산이 매출원가보다 더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
- 기타유동자산과 기타자산이 매출액보다 빠르게 늘어난다.
- 매입채무가 재고자산보다 빠르게 증가했다.
- 판매비와 관리비가 매출액보다 느리게 증가했다. 판매비와 관리비 또는 매출원가의 개선은 영업비용을 자본화하고 있거나 매출액을 부풀렸다는 신호일 수 있다.
추세 분석에서 이와 같은 신호들은 분식회계에 대한 의심을 할 수 있는 신호들이다.
추세 분석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추세 분석에 있어 변동폭이 심할 경우 회사에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 재무제표를 통해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단순 수치로 표시된 표보다는 기준점을 두어 수치를 환산, 가공하여 그래프로 보여주는 것이 해당 기업의 흐름을 이해하는 데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기준점이 있으니 확실히 과거보다 얼마만큼 성장하고 하락하고 있는지를 손쉽게 비교하여 이해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데이터를 가공하지 않고 아래와 같이 추세 그래프를 만들어 보았습니다.
추세를 확인하는 데는 크게 문제가 없지만, 매출액과 영업이익 그리고 당기순이익의 비교에 있어서 기준(2010년) 대비 각 항목 간 몇 퍼센트의 증가 또는 하락하였지에 대해 바로 확인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그래서 기준점을 두고 분석하는 것이 그래프로 분석할 때는 좀 더 효과적이긴 하나 실제 숫자로 보여지는 수치 또한 중요하게 볼 필요는 있다고 생각합니다. 기업의 체격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 자료가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다면 로그인이 필요없는 좋아요♥ 한번 눌러주세요. 감사합니다. : )
'Secret 기업분석 > 경제 관련 용어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무비율 분석 [재무제표 분석기법] (0) | 2020.04.17 |
---|---|
구성비 분석(공통형 재무제표) [재무제표 분석기법] (0) | 2020.04.16 |
재무제표 분석하는 이유? (필독!) (0) | 2020.04.14 |
부실기업과 성장기업 구별하는 '꿀팁' (0) | 2020.04.13 |
캐시플로경영 이란? (0) | 2020.04.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