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모펀드(PEF) 란?
본문 바로가기
Secret 기업분석/경제 관련 용어 정리

사모펀드(PEF) 란?

by 큐라s 2021. 1. 25.
728x90
반응형

사모펀드(private equity fund: PEF)란 소수의 투자자로부터 모은 자금을 운용하는 펀드로, 금융기관이 관리하는 일반 펀드와는 달리 '사인(私人)간 계약'의 형태를 띠고 있다. 따라서 금융감독기관의 감시를 받지 않으며, 공모펀드와는 달리 운용에 제한이 없는 만큼 자유로운 운용이 가능하다. 

 

소수의 투자자로부터 모은 자금을 주식·채권 등에 운용하는 펀드로, '투자신탁업법'에서는 100인 이하의 투자자, '자본시장법'은 49인 이하(50인 미만)의 특정한 소수로부터 자금을 모아 운용하는 펀드로 정의한다. ▷통상 사모펀드는 절대 수익을 추가하는 전문투자형 사모펀드(헤지펀드) ▷회사 경영에 직접 참여하거나 경영·재무자문등을 통해 기업 가치를 높이는 경영참여형 사모펀드(PEF)로 나뉜다. 

 

사모펀드의 운용은 비공개로 투자자들을 모집하여 자산가치가 저평가된 기업에 자본참여를 하게 하여 기업가치를 높인 다음 기업 주식을 되파는 전략을 취한다. 보통 공모펀드는 동일종목에 신탁재산의 10%이상 투자할수 없고, 동일회사 발행주식의 20%이상을 매입할 수 없다. 하지만 사모펀드는 신탁재산의 100%까지 한 종목에 투자할 수 있다. 이러한 점 때문에 사모펀드는 재벌들의 계열지원, 내부자금 이동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고 검은자금의 이동에도 활용될 수 있다. 특히 주식형 사모펀드는 특정 기업이나 개인이 사모펀드에 가입하는 방법으로 다른 회사 경영권을 인수하는 적대적 기업인수합병(M&A)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 사모펀드는 1998년 투신업법 개정을 통해 허용됐지만 세부시행세칙과 표준약관이 마련되지 않아, 투신업계는 제대로 사모펀드 설정 준비를 하지 못하고 있었다. 그러다 정부가 1999년 9월 금융시장 불안해소 대책의 일환으로 사모펀드를 허용했다. 당시 기대 수익이 높은 주식형은 배제되고 공사채형만 허용되었으나, 2000년 7월 기업 자금사정 원활화를 위해 주식형 사모펀드가 허용되었다. 이후 2001년 3월 ▷M&A사모펀드 설립 허용과 ▷M&A사모펀드의의결권제한폐지등을골자로하는증권투자회사법개정으로적대적 M&A까지가능한 M&A사모펀드가가능해졌다.

 

*적대적M&A 란?

적대적M&A는 상대기업의 동의 없이 강행하는 기업의 인수와 합병을 뜻하고 통상 적대적 M&A는 공개매수(Tender Offer)나 위임장 대결(Proxy Fight)의 형태를 취한다

 [공개매수] 
단기간에 의도한 가격으로 대량의 주식을 공시해 매집하게 되는데 인수대상 기업도 적극적으로 맞대응하게 되므로 그 과정에서 주가가 오른다. 그리하여 시세차익을 노리는 공개매수도 생기게 되고, 주식을 매집한 후 대주주를 협박하며 이미 매집한 주식을 비싼 값에 되파는 그린메일(Greenmail)도 있을 수 있다. 

 [위임장 대결] 
주총에서 의결권을 갖고 있는 위임장을 보다 많이 확보해 현 이사진이나 경영진을 갈아치우는 방법이다.
적대적 M&A에 대항하기 위한 방어책은 인수자의 매수자금에 부담을 주는 방법과 재무적인 전략, 회사정관을 이용한 전략 등이 있다. 

사모펀드가 기업을 인수했단는 것은 인수가치 보다 높은 가격으로 다시 매도 함으로써 차익을 실현시키기 위한 것입니다. 실제로 홍콩계 사모펀드 어퍼니티는 인수한지 3년도 채 되지 않은 카카오를 매각하여 대략 5배이상 판을 키우기도 했습니다. 그러면 벤쳐캐피탈과 사모펀드와 다른게 무엇일까요? 쉽게 말하자면 사모펀드는 어느정도 성장한 회사의 경영권이나 지분, 자산등에 투자합니다. 따라서 직접경영에도 관여하며 인수로 인해 경영진이 바뀌는 경우도 많습니다. 반면, 벤처캐피탈은 초기 기업 지분에 투자해 성장시키고 수익을 내는 것이 목표로 둡니다. 따라서 기업의 경영에 직접적으로 참여하지는 않지만 성장에 필요한 컨설팅이나 조언을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기본적으로 사모펀드에 대한 내용들은 N포탈 지식백과에서 많이 가지고 왔습니다. 따른 어떤 자료 보다도 간단명료하게 짜임새있게 잘 나와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모든 신문기사나 자료들을 읽어보면 그안에 내가 모르는 또다른 용어가 존재하고 찾아보게 됩니다. 그렇게 찾아보고 알아가면서 자신의 지식이 성장하는 것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이 글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다면 로그인이 필요없는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