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구전략(Exit strategy) 이란? (feat. 엑시트)
경기침체기에 경기를 부양하기 위하여 취하였던 각종 완화정책을 경제에 부작용을 남기지 않게 하면서 서서히 거두어들이는 전략을 말한다. 또 군사적으로는 피해를 최소화하면서 전쟁을 끝내는 전략을 의미한다.
원래는 군사전략에서 비롯된 용어로서 작전지역이나 전장에서 인명의 장비의 피해를 최소화하면서 철수하는 전략을 의미한다. 베트남전쟁에 발이 묶인 미국이 승산 없는 싸움에서 피해를 최소화하면서 군대를 철수할 방안을 모색할 때 제기된 용어로 알려져 있다. 여기서 유래하여 위기상화에 처하여 이를 극복하고자 취하였던 이례적 조치들을 부작용이나 후유증을 최소화하면서 정상으로 디돌리는 것을 포괄적으로 지칭하기도 한다.
경제에서는 경기를 부양하기 위하여 취하였던 각종 완화정책을 정상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경기가 침체하면 기준 금리를 인하하거나 재정지출을 확대하여 유동성 공급을 늘린느 등의 조치를 취하게 되는데, 경기가 회복되는 과정에서 시중에 유동성이 과도하게 공급되면 물가가 상승하고 인플레이션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이에 대비하여 경제에 미칠 후유증을 최소화하면서 각종 비상조치를 정상화하면서 각종 비상조치를 정상화하여 재정 건전성을 강화해나가는 것을 출구전략이라고 한다. 2008년부터 시작된 이른바 세계 금융위기와 관련하여 중앙은행의 통화환수 정책과 같은 뜻으로 사용된다. 이밖에 기업이 다른 기어을 인수·합병하였다가 가장 적절한 시기에 매각함으로써 이익을 실현하는 전략도 여기에 포함된다.
쉽게 얘기하면 출구전략은 양적완화로 인해 많은 돈을 시중에 공급했던 휴유증을 없애기 위해 실시하는 경제정책의 정상화를 의미한다고 생각하면 쉬울 것 같습니다. 더불어 최근 경제용어로 엑시트란 말이 많이 나오는데 엑시트는 영어로 Exit를 말합니다. 탈출, 출구 등의 뜻을 갖고 있는데 영어를 소리나는 대로 적어놓은 단어입니다. 엑시트는 투자 후 출구 전략을 의미하는 것으로 투자자의 입장에서 자금을 회수하는 방안을 의미 합니다.
위의 기사에서 '엑시트 대책 부족' 이란 말은 즉 자금회수 방안의 부재를 의미한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엑시트(자금회수) 방법에는 매각 또는 주식시장상장, 인수합병, 기업청산 등이 있을 수 있을 것입니다. 출구전략과 엑시트에 알아보았는데요. 코로나19가 끝나고 어느정도 경제가 성장하고 있다는 신호가 오면 출구전략을 통한 조정이 한번 올 것입니다. 그렇게 되면 금리인상 얘기가 나올 수 밖에 없겠지요. 미래 경제는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갈 것인지 개인적으로 생각해보고 사람들이 현재는 사람들이 관심을 두지 않는 종목을 사두었다가 호황이라고 말할 때 매도할 수 있는 그런 투자 종목의 발굴이 필요한 시점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이 글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다면 로그인이 필요없는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
'Secret 기업분석 > 경제 관련 용어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밸류에이션(valuation) 이란? (0) | 2021.01.30 |
---|---|
테이퍼링(tapering) 이란? (0) | 2021.01.29 |
양적완화(QE: Quantitative easing) 란? (0) | 2021.01.27 |
사모펀드(PEF) 란? (0) | 2021.01.25 |
플로트(float) 란? (0) | 2021.01.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