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이익성장률 [성장성 분석]
본문 바로가기
Secret 기업분석/경제 관련 용어 정리

순이익성장률 [성장성 분석]

by 큐라s 2020. 4. 26.
728x90
반응형

순이익성장률 [성장성 분석]

순이익성장률은 기초순이익에 비해 기말순이익이 얼마나 빠른 속도로 증가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순이익은 매출액에서 모든 비용을 차감하고 최종적으로 남는 이익으로 주주의 이익이라고 한다.

 

순이익성장률 = 기말순이익 - 기초순이익 / 기초순이익 × 100

 

순이익성장률은 주가형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주가는 기업이 얼마나 많은 이익을 남겼느냐에 따라 움직인다. 이런 이유로 순이익성장률은 투자자의 수익률로도 해석할 수 있는데, 투자수익률을 결정하는 주가는 순이익의 성장만큼 상승하기 때문이다. 이를 제대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단기적인 순이익성장률만을 살펴보는 것보다는 향후 수년간의 순이익성장률을 함께 고려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경기변동이나 산업의 부침에 따라 순이익이 단기적으로 변동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단기적인 순이익만을 보고 투자수익률을 예측한다면 잘못된 투자판단을 내릴 가능성이 있다. 

 

[Secret 기업분석/경제 관련 용어 정리] - 매출액성장률 [성장성 분석]

 

매출액성장률 [성장성 분석]

수익성과 함께 강한 경쟁력을 가진 기업의 특징은 바로 지속적인 성장성이라고 할 수 있다. 기업의 수익성이 일정한 수준을 유지한다고 하더라도 성장하지 않는 기업은 주가상승이 제한을 받게 된다. 강한 경쟁력..

secret-of-rich.tistory.com

다음 표는 A기업의 향후 5년간의 순이익에 대한 전망을 나타내는 것으로 순이익성장률을 살표보자(현재시점은 2015년으로 가정).

(단위 : 원)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순이익 100 80 110 140 180 170

A기업의 순이익은 2015년 100원에서 이듬해인 2016년 80원으로 20% 감소했다가 2020년까지 꾸준히 상승해 170원이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2020년까지 A기업에 투자했을 때 순이익성장률은 70%이다. 

 

순이익성장률 = (170 - 100) / 100 × 100 = 70%

 

워렌 버핏은 이익이 들쭉날쭉하는 회사를 싫어한다. 지속적으로 주당순이익이 상승하는 추세를 보이는 회사를 찾는다. 

 

순이익성장률은 주가의 성장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일반적이기 때문에 투자자입장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로 인지되곤 합니다. 그러다 보니 재무제표를 분석에 있어 순이익만을 중요시 보는 경향이 강하게 나타나는 것 같습니다. 인지편향적인 사고가 생기게 되면 넓은 숲을 보지 못하고 나무만 보게 됩니다. 객관적이고 넓은 시각으로 기업분석을 할 수 없는 것입니다. 순이익이란 용어가 들어가게 되면 자연스럽게 영업이익은 어떻게 되는지 확인하고 비교하는 작업은 반드시 필요합니다. 영업이익은 낮은 데 순이익이 오히려 영업이익보다 높은 경우도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 경우 영업외 수익이 어디서 발생했는지 무엇 때문에 발생했는지 파악하고 지속적으로 순이익성장이 가능할 것인지까지 확인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합니다. 이 자료가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다면 로그인이 필요없는 좋아요 한번 눌러주세요. 감사합니다. : )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