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투자 기업 고르기]
싸구려 시장으로 진출해도 매출을 증가시킬 수는 있지만, 일단 싸구려로 전략하면 다시 고가 시장으로 올라가기 힘들다.
많은 소비자들은 마음 한구석을 견고하게 점하고 있는 제품들이 있다. 바로 어떤 제품 하면 곧바로 머릿속에 떠오르는 상표, 즉 브랜드 상품들이다. 가령 크리넥스(Kleenex), 탐팩스(Tampax), 윈덱스(Windex), 스니커즈(Snickers), 리글리즈, 디즈니, 코카콜라 같은 상표들은 모두 소비자의 머릿속에 확실하게 각인된 브랜드들이다.
소비자들은 이런 브랜드 제품에 일정한 기대를 한다. 그리고 제품은 이런 소비자들의 기대를 충족시키기 때문에 제조사가 제품의 가격을 올릴 수 있는 것이다. 결국 제조사들은 자사 제품을 이렇게 자랑할 만한 위치로 끌어올리기 위해 수백만 달러의 지출을 마다하지 않는다.
반면 더 많은 이익을 얻으려는 목적으로 품질을 낮추는 회사는 어렵게 사로잡았던 소비자의 마음을 하루아침에 잃게 된다. 실제로 이런 일은 비일비재하다. 소비자는 품질이 나빠지면 더 이상 그 제품을 사용하지 않는다. 또한 저질 제품으로 인한 불쾌한 경험이 소비자의 머릿속에 어랫동안 남기 때문에 제조사가 품질을 다시 향상시키더라도 원래의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회복하기는 거의 불가능하다.
▶ 소비자와의 신뢰를 주고 받는 기업, 매니아층이 있는 기업에 관심을 갖자.
반응형
'마인드를 위한 독서요약 > 워렌버핏 투자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투자 기업 고르기] 돈을 잃었던 방법 그대로 다시 벌 필요는 없다. (3) | 2024.11.12 |
---|---|
[투자 기업 고르기] CEO에게 합병으로 회사 몸집을 키우라고 하는 것은 10대 아들에게 올바른 성생활을 하라고 충고하는 것만큼이나 무모한 행동이다. (3) | 2024.11.11 |
[투자 기업 고르기] 기초 체력이 부실한 기업은 한 가지 문제를 해결하고 나면 곧바로 또 다른 문제에 봉착한다. 부엌에 바퀴벌레가 한 마리가 있는 경우는 드물기 때문이다. (1) | 2024.11.09 |
[투자 기업 고르기] 성장하기 위해 많은 자본이 필요한 사업과 많은 자본이 필요 없는 사업의 차이는 크다. (4) | 2024.11.08 |
[투자 기업 고르기] 부실 운영과 부실 경영은 부실 회계로 이어진다. (1) | 2024.11.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