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부자되기 그리고 부자로 살아남기]
매도 호가는 높게, 매수 호가는 낮게 부르라.
대부분의 투자자들은 주식을 매도할 때는 가격을 높게 부르고, 매수할 때는 낮게 부르는 것을 부끄럽게 여긴다. 남에게 탐욕스럽거나 값싼 인간으로 보이고 싶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비즈니스 세계에서는 매매 과정에서 돈을 얼마나 받거나 주는지에 따라 돈을 벌 것인지 아니면 잃을 것인지가 결정된다.그리고 그에 따라 당신이 부자가 될 수 있는지, 만약 된다면 얼마나 큰 부자가 될 수 있는지가 결정된다. 매매 협상이 시작되고 나서도 처음에 부른 매도 호가를 낮추거나 매수 호가를 올릴 수는 있다. 그러나 그 반대는 불가능하다. 즉, 협상 과정에서 최초에 제시한 매도 호가를 더 높이거나 매수 호가를 더 낮추는 일은 매우 어려운 것이다.
버핏은 이 원칙의 중요성을 매우 잘 알고 있어서, 자신이 정한 가격 기준에 맞지 않으면 자주 거래를 중단했다. 캐피털 시티즈(capital Cities)가 ABC 방송국과 합병할 때의 일화는 이런 버핏의 원칙을 잘 보여 준다. 당시에 그는 자신이 투자한 돈에 비해 캐피털 시티즈가 자신에게 주려는 지분이 적다는 사실을 알고는 과감하게 거래를 중단했다. 아니나 다를까 바로 다음날 캐피털 시티즈는 고개를 숙였고, 버핏은 원하는 조건으로 거래를 성사시킬 수 있었다. 구하라. 그러면 얻을 것이다. 그러나 구하지 않으면 절대 얻을 수 없다.
▶ 매도는 높게, 매수는 낮게, 그리고 적극적으로 구할 것!
반응형
'마인드를 위한 독서요약 > 워렌버핏 투자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자되기 그리고 부자로 살아남기] 오직 하나의 탁월한 사업을 알아본 사람에 의해 가장 큰 부(富)가 완성되었다. (3) | 2024.10.15 |
---|---|
[부자되기 그리고 부자로 살아남기] 나쁜 상대와 좋은 거래를 할 수는 없다. 거래 상대를 신중하게 선택하라. (2) | 2024.10.14 |
[부자되기 그리고 부자로 살아남기] 행복은 돈으로 살 수 있는 것이 아니다. (1) | 2024.10.12 |
[부자되기 그리고 부자로 살아남기] 나는 열한 살에 주식 투자를 시작했다. 그때까지는 인생을 낭비하고 있었던 셈이다. (3) | 2024.10.11 |
[부자되기 그리고 부자로 살아남기] 투자의 제 1원칙, 투자의 제 2원칙 (5) | 2024.10.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