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가차1 한자 기초 한자 기초(육서 六書) 오늘날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한자는 수도 많고, 또 모양도 복잡하다. 하지만 한자의 수가 아무리 많고 모양도 복잡하다 하더라도 그것들은 몇 가지 일정한 원칙 하에서 만들어진 것이다. 이 원칙을 육서(六書)라고 하는데, 이는 한자를 이해하는 데 있어 기본이 되므로 한자공부를 시작하기에 앞서 반드시 익혀두어야 할 필요가 있다. 1. 상형 한자 구성의 가장 기본이 되는 것으로, 눈에 보이는 사물의 모양을 본떠서 만든 글자를 상형문자(象形文字)라고 한다. 2. 지사 사물의 모양으로 나타낼 수 없는 개념을 점이나 선 또는 부호로써 나타낸 글자를 지사문자(指事文字)라고 한다. 3. 회의 이미 만들어진 두 개 이상의 글자를 합하여 새로운 한자를 만들어 쓰되 뜻으로 결합(뜻+뜻)하여 만들어진 문.. 2022. 1. 1.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