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디플레이션
물가가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현상을 말한다. 디플레이션(deflation) 하에서는 물가상승률이 마이너스로 하락하는 인플레이션이 나타난다. 디플레이션이 발생하는 원인은 생산물의 과잉공급, 자산거품의 붕괴, 과도한 통화 긴축정책, 생산성 향상 등 다양하다. 그러나 궁극적으로는 유통되는 통화의 양이 재화 및 서비스의 양보다 적기 때문에 화폐가치는 상승하고 반대로 물가는 하락하는 디플레이션이 발생한다는 점에 이견이 없다. 디플레이션이 발생하면 통화의 가치는 상승하고 실물자산의 가치는 하락함에 따라 인플레이션과 반대 방향으로 소득 및 부의 비자발적 재분배가 발생한다. 이외에도 실질금리 상승에 따른 총수요 감소, 실질임금 상승에 따른 고용 및 생산 감소, 소비지출 연기에 따른 경제활동 위축, 부채디플레이션에 따른 총수요 감소, 통화정책 및 재정정책 등 정책적 대응 제약, 디플레이션 악순환 가능성 등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Secret 기업분석/경제금융용어 700선] - 인플레이션
반응형
'Secret 기업분석 > 경제금융용어 700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플레이션 (0) | 2022.01.26 |
---|---|
기대인플레이션 (0) | 2022.01.25 |
피셔효과(fisher effect) 란? (0) | 2022.01.20 |
명목금리/실질금리 (0) | 2022.01.07 |
국외순수취요소소득 (0) | 2021.12.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