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가계부실위험지수(HDRI)
가계부실위험지수(HDRI) 가구의 소득 흐름은 물론 금융 및 실물 자산까지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가계부채의 부실위험을 평가하는 지표로, 가계의 채무상환능력을 소득 측면에서 평가하는 원리금상환비율(DSR; Debt Service Ratio)과 자산 측면에서 평가하는 부채/자산비율(DTA; Debt To Asset Ratio)을 결합하여 산출한 지수이다. 가계부실위험지수는 가구의 DSR과 DTA가 각각 40%, 100%일 때 100의 값을 갖도록 설정되어 있으며, 동 지수가 100을 초과하는 가구를 ‘위험가구’로 분류한다. 위험가구는 소득 및 자산 측면에서 모두 취약한 ‘고위험가구’, 자산 측면에서 취약한 ‘고DTA가구’, 소득 측면에서 취약한 ‘고DSR가구’로 구분할 수 있다. 다만 위험 및 고위험 가구는 가구의 채무상환능력 취약성 정도를 평가하기 위한 것이며 이들 가구가 당장 채무상환 불이행, 즉 임계상황에 직면한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Secret 기업분석/경제금융용어 700선] -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차주의 상환능력 대비 원리금상환부담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차주가 보유한 모든 대출의 연간 원리금상환액을 연간소득으로 나누어 산출된다. 대출에는 마이너스통
secret-of-rich.tistory.com
반응형
'Secret 기업분석 > 경제금융용어 700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계처분가능소득 (0) | 2021.09.14 |
---|---|
가계신용통계 (0) | 2021.09.13 |
가계순저축률 (0) | 2021.09.10 |
가계수지 (0) | 2021.09.09 |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0) | 2021.09.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