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ret 기업분석/경제 관련 용어 정리

매입채무회전율 [효율성 분석]

큐라s 2020. 5. 6. 11:07
728x90
반응형

매입채무회전율 [효율성 분석]

매입채무회전율은 매입액을 매입채무로 나눈 것으로 기업의 매입채무를 갚는 속도가 어느정도인지를 보여 주는 지표이다. 즉, 외상으로 구입한 상품이나 원재료대금을 얼마나 빨리 지급하고 있는지를 나타낸다. 재고자산 매입액 자료가 이용가능하지 않은 경우에는 매출원가를 대신 사용할 수 있다. 

 

매입채무회전율 = 매입액(매출원가) / 매입채무

 

반응형

일반적으로 매입채무회전율이 낮을수록 기업이 신용관리를 잘 하고 있다는 신호이다. 매입채무는 이자를 지급하지 않는 부채이기 때문에 매입채무를 늦게 갚을수록 기업은 영업운전자본투자액을 절약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대부분의 기업은 매입채무를 가급적 늦게 갚으려고 하는데 매입채무회전율이 낮다는 것은 기업의 경쟁력이 강하다는 증거이기도 하다. 

 

반대로 매입채무회전율이 높으면 자금조달을 위한 기회비용이 발생하고 있다는 뜻이다. 매입채무회전율이 높으면 운전자본유지를 위해 그만큼 운전자본의 규모가 커지기 때문에 이를 위해 현금이 묶여 있게 되고 그에 따른 기회비용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매입채무회전율이 높으면 기업의 경쟁력이 낮다는 증거가 된다. 기업의 과거 추세를 살펴보고 매입채무회전율이 지속적으로 낮아지고 있다면 긍정적인 의미로, 반대로 경우는 부정적인 의미로 받아들여야 한다. 

 

총자산회전율 [효율성 분석]

총자산회전율 [효율성 분석] 효율성비율은 기업이 영업에 투입한 자산이 얼마나 효율적으로 이용되고 있는지, 즉 얼마나 빠른 속도로 매출이나 현금으로 변환되었는지를 측정하는 비율로 활동성비율 또는 회전률..

secret-of-rich.tistory.com

매입채무가 지급되는 기간을 '일'단위로 표시한 것이 매입채무회전이수 또는 매입채무결제기간이다.

 

매입채무회전기간(결제기간) = 365일 / 매입채무회전율

 

매입채무회전일수는 매입채무회전율을 '일'단위로 표시한 것으로 매입채무회전율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매입채무회전율 10.0은 매입채무가 연간 10회 회전하였고, 매 37일(365일÷10회)마다 매입채무를 지급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매입채무는 이자를 지급하지 않는 부채라는 점이 매우 중요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회사의 입장에서는 매입채무를 최대한 늦게 갚을수록 그에 따른 자금을 다른 방향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효율적인 운영이 가능한 것이지요. 매입채무는 또한 기업의 신용을 파악하는 기준으로 활용되기도 합니다. 매입채무회전율 및 매입채무회전기간에 대하여 분석해본다면 회사가 자금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지표로 활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 글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다면 로그인이 필요없는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

반응형